본문 바로가기

티스토리/일상102

지구온난화와 먹거리 1. 지구온난화의 도래바야흐로 여름초입이 들어서고 있음을 실감하게하는 더위가 우리를 엄습하고 있다. 몇년전만해도 5월은 계절의 여왕으로 불리며 따뜻한 날씨와 더불어 화사한 자태를 뽐내는 꽃들로 세상을 덮고 있었다. 아름다운 봄날을 충분히 자연과 더불어 즐긴이후 신나는 여름휴가와 바캉스의 즐거움을 가지게 하는 여름이 다가오는 절기의 순서에 우리는 익숙해있었다. 몇년전부터 이러한 계절의 적절한 리드미컬한 순환을 부수는듯 봄날은 갑자기 다가와 잠시 우리를 배회하는 슬쩍 자취를 보여주고는 곧장 여름이라는 절기에 자신의 자리를 내어주어 이전의 절기순환에 익숙한 우리를 당혹해 하고있다. 정영 봄은 사라지고 여름이 가세등등하게 우리를 감싸고 있다. 지구온난화라는 환경볌화의 주범이 우리를 놀라게 하는 절기의 변화는 우.. 2024. 6. 14.
이민문호확대와 그 의미 1. 각국에서의 이민문호확대와 시사점 근래 한국사회에서 급격한 출산율의 저하로 인한 인구감소는 국가의 존립과 영속성을 근간에서 흔드는 문제로 발전하고 있다. 한국사회에서 급격한 출산율의 저하의 원인에 대하여 여러원인이 제기되고 있다.이에는 독자에 따라 시각차이가 존재하지만 이를 대체로 살펴본다면 2000년대이후의 급격한 전세파동, 매매가 및 신규아파트의 분양가상승등 부동산가격의 상승으로 인한 젊은 세대들의 주거비용의 과도한 부담이다. 더불어 적절한 일자리 부족, 급격한 경제적, 사회적 변화에 따른 개인주의심화로 인한 결혼기피현상등을 들 수 있다. 급격한 인구감소문제는 이제 현실화되어 유아들을 대상으로 하는 유치원, 어린이집들이 잇따라 폐원되고 있고 초등학교, 중고교등이 폐교되거나 학급수가 축소되며 나아가.. 2024. 6. 8.
저의 유튜브 채널입니다. https://www.youtube.com/@user-happylife3380 2024. 6. 3.
누군가에게 꽃이 되어 꽃 - 김춘수 - 1. 김춘수의 꽃내가 그의 이름을 불러주기 전에는 그는 다만 하나의 몸짓에 지나지 않았다.내가 그의 이름을 불러주었을때그는 나에게로 와서 꽃이 되었다.내가 그의 이름을 불러준것처럼나의 이 빛깔과 향기에 알맞은 누가 나의 이름을 불러다오.그에게로 가서 나도 그의 꽃이 되고 싶다.우리들은 모두 무엇이 되고싶다.   라일락2. 김춘수의 꽃의 의미와 존재적 가치현상계에 존재하는 모든 피조물에 걸맞는 상대역에 해당하는 존재는 과연 있는가. 꽃이 없는 나비가 의미없듯이 나비가 있음으로 꽃이라는 현상계에서의 존재가치가 의미있음은 비록 선험적이라 하지 않아도 우리는 경험론상 체득하고 있다. 이러한 현상계라는 존재법칙을 김춘수시인은 꽃이라는 피조물에 의탁하여 이러한 불변의 법칙을 은유적으로 설파하고 있음을 그의 보유한 .. 2024. 6.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