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반응형
원화 환율이 하락(즉, 원화 강세, 달러 대비 원화 가치 상승)하면 수혜를 입는 기업들은 보통 수입 중심 기업이나 원재료를 해외에서 조달하는 내수기업, 또는 외화 부채가 많은 기업입니다. 대표적인 원화 강세 수혜주입니다.
1. 수입 중심/원재료 조달 기업
항공사 : 대한항공, 아시아나항공사는 항공유를 달러로 결제하므로 원화강세시 연료비 절감.
정유·화학 : S-Oil, LG화학, 롯데케미칼
2. 원자재 수입 단가 하락으로 마진 개선
전기·전자 부품 수입 업체 : 현대오토에버, 한솔케미칼 등 반도체·디스플레이 관련 부품을 수입해 제조하는 회사들
3. 외화 부채 많은 기업
외화 부채가 많으면 환차손 우려가 줄어들며 이익 증가로 대한항공, 두산에너빌리티 등
4. 해외 매출 비중 낮은 내수 중심 기업
수출 비중이 낮기 때문에 환율 영향이 적고, 수입 비용은 줄어들어 상대적 수혜임. CJ제일제당, 농심, 오뚜기등
5. 원재료를 해외에서 수입해 제품 생산하는 식품기업
밀, 설탕, 커피, 해외과일등 원재료를 해외에서 주로 수입하여 생산하는 식품기업들
6. 항공·여행 관련 소비주
원화 강세는 해외여행 수요가 증가되며 여행/면세점이 수혜임 하나투어, 모두투어, 호텔신라, 신세계등임
*원화 강세가 장기적으로 이어진다면, 내수주, 항공, 여행, 수입 의존 산업 위주로 수익이 좋아집니다. 그러나 수출중심기업 (삼성전자, 현대차 등)은 단기적으로는 불리할 수 있습니다.
반응형
'티스토리 > 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미국 MZ세대가 선호하는 브루칼라 직업 Top 10 (3) | 2025.04.19 |
---|---|
달러 하락과 환테크: 기회와 리스크 (5) | 2025.04.16 |
일본 쌀값이 폭등하면 일본인들이 한국으로 쌀을 사러 올까? (1) | 2025.04.16 |
달러 페그제(고정환율제)를 실시한다면 나타날 수 있는 긍정적 효과와 부정적 효과 (1) | 2025.04.16 |
일본 여행 중 고환율에 대응하는 엔화 사용법 (2) | 2025.04.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