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독일에 불어온 녹색바람
지구상에 나타나고 있는 기후변화는 우리들이 피부에 느끼고 일상생활에 영양을 줄 정도로 심각하다. 사막지역에 1년내내 비가 거의 내리지 않는 건조지역에 한여름 거대한 장마비와 같은 폭우가 내려 10년에 한번 있을 정도의 거대한 강물을 형성하고 일시적이나마 주변지역을 물로 가득차게 만들었다.
또한 지역특성상 눈이 한번도 내리지 않은 지역에 거대한 폭설이 내려 세계를 놀라게 하는 기상이변이 우리들 주위에 심심치 않게 들러오고 있다.
또한 태평양상에서 주기적으로 반복되는 엘니뇨와 라니냐의 영향으로 태평양지역의 기후변화가 변화하여 주변지역에 중대한 기후변화를 초래하고 있다.
우리들이 살고 있는 한국도 이러한 전지구적인 기후변화의 소용돌이속에 헤어나지 못하고 있다. 이러한 기후변화가 초래하는 다양한 문제가 많지만 그중 하나는 우리 일상생활에 필수적인 에너지문제와 직결된다는 점이다.
에너지가 없는 현실은 상상할 수 없을 정도로 지구에서의 호모 사피엔스종의 존재를 불가능하게 한다. 에너지의 공급으로 과학이 발달하기 이전 주로 수자원을 이용하는 수력, 석탄등을 이용하는 화력발전등의 자연자원을 이용하는 형태이었다.
이러한 수력, 화력등을 이용한 에너지원의 확보는 수력의 경우 1년내내 풍부하고 일정한 수량의 수자원을 필요로 하고 석탄을 이용한 화력등의 경우 석탄이라는 지하자원을 채굴하여야 하는 자원확보문제와 더불어 석탄을 태울시 발생하는 이산화탄소발생등 심각한 환경오염이 뒤따랐다.
석유와 천연가스등을 이용한 에너지원확보도 이와 유사한 문제를 야기하였으며 보다 중대한 문제는 기존의 저개발국들이 본격적으로 경제개발에 나서면서 본격적으로 거대한 에너지원을 필요로 하게 되어 석유, 석탄, 천연가스등 자원확보문제와 더불어 지구차원의 기후변화를 야기할 정도로 심각한 환경문제를 야기하였다.
이에 등장한 원자력을 이용한 에너지가 이들을 대체하여 환경오염이 감소되는 원자력시대를 열었다. 원자력에너지원은 가성비에서 뛰어나며 다른 기존의 에너지원보다 환경오염을 획기적으로 줄인다는 점에서 청정에너지원으로 각광받았다.
그러나 후쿠시마원전사고등으로 인한 원자력이 가져다 주는 피해에 대한 불안감이 커져 이를 대체하는 에너지를 확보하는 차원에서 신재생에너지바람, 녹색바람이 거세게 불었다.
대표적인 사례가 독일에서 메르켈총리시절 독일내 원자력발전시설을 폐쇄하는 녹색바람이 불어 순차적으로 원자력발전을 축소하고 이를 대체하는 신재생에너지인 풍력, 조력발전등에 주력하였다.
이러한 녹색바람은 정치권에도 불어 독일에 녹색당이 출현하는 등의 거대한 기존의 정치풍토에 변화를 초래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풍력, 조력등 신내생에너지는 지역에 따라, 국가에 따라 충분한 에너지를 생산할 수 있는 정도의 일정하고 풍부한 풍력, 조력이 발생되지 않는다는 근본적인 문제점이 있었다.
독일의 경우 국토가 대부분 평지이며 북해부분에서 다소의 바람이 불지만 1년내내 일정한 정도의 균일하고 풍력발전에 필요한 바람이 불지 않는다고 한다.
지구온난화와 먹거리
1. 지구온난화의 도래바야흐로 여름초입이 들어서고 있음을 실감하게하는 더위가 우리를 엄습하고 있다. 몇년전만해도 5월은 계절의 여왕으로 불리며 따뜻한 날씨와 더불어 화사한 자태를 뽐내
choihama.tistory.com
2. 태양광발전의 등장과 문제점, 원자력시대의 귀환?
또하나의 재생에너지의 하나로 등장한 태양광발전 역시 유사한 문제점을 야기하고 있으며 특히 햇빛이 없는 야간의 경우 태양광발전이 불가능한 치명적인 문제가 있다.
신재생에너지로 한때 각광을 받은 태양광발전이 우리의 현실에도 이러한 문제가 여실히 나타나고 있다. 특히 태양광발전붐으로 조성한 태양광발전시설이 방치되어 노후화된 경우 이에 나오는 중금속오염은 주위 인근의 토양, 지하수를 오염시키고 이에 우리의 인체에도 중대한 피해를 야기하고 있다.
독일의 경우 풍력, 조력발전의 문제로 독일에 필요한 전기등 에너지가 부족하여 이웃한 원자력대국인 프랑스로부터 독일에 필요한 부족분 전기를 수입하고 있다.
녹색바람으로 독일내 원자력발전시설을 축소, 폐쇄한 독일 메르켈총리가 비록 퇴임하였지만 이에 대한 에너지정책에 대한 실책으로 거센 비난을 받고 있다.
독일에서의 에너지원확보에 대한 실책으로 다시 원자력발전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며 거세게 불어온 녹색바람이 점차로 퇴조하고 있다.
물론 독일에 필요한 에너지원을 확보하기 위하여 원자력발전을 어느정도로 재정비할 것인가는 여전히 문제로 남았지만 독일전역에 불어온 녹색바람은 상당히 퇴조한 것은 사실이다.
유럽에서 새로이 인식되는 원자력에너지원
1. 유럽에서의 녹색바람이 초래한 만성적인 에너지부족 전지구를 강타한 기후변화는 사람들의 에너지원에 대한 인식을 송두리째 변화시켰다. 인류가 탄생하여 불을 사용한 이래로 가장 원초적
choihama7.tistory.com
'티스토리 > 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전기자동차시대 독일자동차의 경쟁력약화 (3) | 2025.01.21 |
---|---|
아르헨티나를 살리는 전기톱의 성공? (1) | 2025.01.18 |
2025년 1월 한국은행 금리동결! (0) | 2025.01.16 |
미연준은 2025년 금리를 인상할 것인가? (2) | 2025.01.15 |
일본쌀값 폭등이 일본은행금리에 영향을 주는가 (1) | 2025.01.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