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 최근의 미경제침체우려
미국경제가 호황국면울 지나 경기침체를 보여주는 경제지표들이 잇달아 나타나고 있다. 경기사이클로 본다면 호황뒤에 경기침체 내지 불황이 오는 것은 당연한 경기흐름이지만 이번에 나타나는 미국의 경기침체는 자연스런 경기사이클로 보기에는 다소 인위적인 면이 존재한다.
경기순환은 경제에 참여하는 사람, 기업등의 자연스런 활동에 따라 진행되지만 이번 나타나는 미국경제의 침체에 있어 상당부분은 트럼프정부가 추진하는 관세정책에 있다.
미국에 수입되는 물품에 관세를 부과하면 미국으로의 수입물량이 줄어 미국산업을 보호하고 이에 관세로 인한 재정수입이 증가하는 효과가 있다. 그러나 미국이 수입에 의존하는 농산물등 각종 물품에 고율의 관세르 부과하면 수입물가가 상승하여 고물가현상이 나타난다.
고물가는 인플레이션을 초래하고 중산층을 포함한 미국민들의 생활고가 나타나며 소비여력이 감소된다. 미국경제를 움직이는 동력은 소비가 70%를 차지한다고 한다. 소비여력이 감소되면 경기침체가 오게된다.
미연준은 2025년 금리를 인상할 것인가?
1. Wall Street Journal은 1월 15일자 보도 Wall Street Journal은 1월 15일자 보도에서 투자자들이 미연준이 2025년 TURN을 하여 금리를 인상할 것인가에 대하여 고민하고 있다고 한다. 이제까지 미연준이 미경
choihama.tistory.com
2. 미연준의 추가금리인하와 영향
이는 정치, 경제등 미국사회전반에 부정적인 영향을 주게된다. 이에 미연준은 경기침체를 극복하기 위해 향후 미금리를 2~3차례 인하할수도 있다고 한다. 경기침체를 극복하기 위하여 미연준이 금리인하를 하는 것은 경제논리에 타당하다.
파웰은 관세부과효과는 일시적이라고 하지만 일단 부과된 고율의 관세는 상당한 기간동안 물가등 부정적인 영향을 주게된다. 현재와 같은 경기침체가 지속되면 미금리가 인하될 것이고 이는 경기침체에 허덕이는 한국경제에 상당한 도움이 될 것이다.
한미간 금리차이에 대한 우려로 추가금리인하를 주저한 한국은행이 경기극복을 위한 추가금리인하를 가능하게 할수 있기 때문이다. 한국경제에 다소 숨통이 트일수 있다.
'티스토리 > 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서울 강남3구에서의 토지거래허가제의 재지정이 의미하는 것은 무엇일까????? (1) | 2025.03.26 |
---|---|
한겨울을 버틴 삼성전자 드디어 꽃방울, 6만전자 돌파???? (0) | 2025.03.20 |
안보가 불안한 유럽 재무장으로 날개를 단 k방산??? (1) | 2025.03.19 |
일본은행의 금리동결!!!!! (2) | 2025.03.19 |
겨우내 삼성전자에도 춘삼월 훈풍이 부는 봄은 오는가!!!!!!! (0) | 2025.03.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