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경제117 성공으로 가는 본업의 중요성 1. 본업의 가치우리는 누구나 생존을 위한 본업을 갖고 있다. 본업은 자기만의 생존을 위한 기본독인 자원인 먹거리를 해결하기 위한 귀중한 존재이다. 어느 누구도 먹거리를 해결하지 않고서 삶을 영위할 수 없기 때문이다. 본업을 자신의 능력과 취향이 맞게 갖다는 것 자체가 자신의 인생에서 절반의 성공이다.본업이 의사, 교사, 연구원, 사업가이던 이를 갖는 것이 자신에게 있어 짧지 않은 자신의 생을 근본적으로 지탱하는 기둥이다. 본업이 주는 혜택은 수입이라는 경제문제해결책과 더불어 사회생활에 필수적인 본업이 주는 명성, 평판이다. 자신의 본성이 본업이 주는 명성, 평판과 다를지라도 본업이 주는 명성, 평판의 혜택을 직간접적으로 누린다. 일부 사람들은 본업이 주는 가면속에 자신의 본성을 감추고 사는 경우도 있.. 2024. 7. 13. 취업 후 상환 학자금대출 이자면제 대상 확대 1. 취업후 상환 학자금대출이란 * 대학생을 대상으로 재학 기간에 학자금 대출 상환을 유예해줌으로써 학업에 전념하도록 지원하는 제도 * 대학생이 학자금 대출 요건을 충족하여야 함 * 대학생이 한국장학재단에 학자금 신청하여야 함 * 한국장학재단이 학자금대출을 행함 * 대출받은 학자금은 취업 등으로 소득이 발생한 이후 국세청에 상환함 * 대출원리금상환 의무는 소득금액이 상환기준소득을 초과할 때까지 자동 유예. 2. 취업 후 상환 학자금대출 이자 면제 대상 확대 * 2024년 6월 18일 ‘취업 후 학자금 상환 특별법 시행령’ 일부 개정령안이 국무회의에서 심의·의결되어 학자금대출 이자 면제 대상이 확대. * 2024년 7월 1일부터 ‘취업 후 상환 학자금대출’ 이자 면제 대상이 학자금 지원 1~5구간인 (.. 2024. 7. 11. 경제도 심리다. 1. 한국민들의 경제에 대한 관심 우리가 살고 있는 현재사회에 경제가 미치는 영향을 가히 절대적이다. 우리가 매일 접하는 유튜브, TV, 라디오등 미디어들은 온통 경제에 대한 이야기들로 넘쳐난다. 오늘 주식시세가 어떠하고 내일은 어떠한 전망으로 예상된다는 등이다. 한국에서의 경제전망이 어제와 달리 오늘은 어떠하고 내일은 조금은 달라질 수 있을 것에 관심을 두고 있다. 온국민이 참전하고 있는 경제전쟁 한가운데 아파트시세가 오를 것인가 내릴 것인가에 대하여 나와 무관한 듯 무심하게 지나고 있어도 귀는 항상 아파트경기에 대한 이야기에 열어두고 있다.혹시 나의 아파트가 다른 아파트에 뒤질세라 안 오르면 어떻하지 라는 걱정부터 나의 아파트가 다른 지역, 다른 사람의 아파트보다 오르리라 생각되는 순간 머릿속에서 엔.. 2024. 7. 10. 흙수저가 금수저를 이기는 법(명심보감) - 명심보감(明心寶鑑) 大富는 由天, 小富는 由勤이라 - 1. 현대사회에서의 부의 존재 현대를 사는 사람이라면 누구나 부와 권력과 명예를 누리고자 한다. 우리가 살고 있는 세상에 존재하는 부와 권력, 명예를 추구하는 사람에 비하여 이를 누리는 사람은 많지 않다.특히 부(Wealth)를 누리는 사람들이 가지는 사회적 혜택이 우리가 살고 있는 시대에서 엄청나게 크다는 점은 누구나 알고 있다. Money is new power in the modern society라고!!!!!!!! 현대사회에서 부가 사실상 사회적 계층의 원천이며 자신이 하고자 하는 행동의 반경을 결정적으로 정하여 준다. 트럼프 타워이미 우리 사회도 기본의 반상제도가 무너져 평등한 사회가 되었다 할지라도 현대사회에서 주는 부는 또다른 세상.. 2024. 7. 9. 쌀값생각 1. 쌀을 대하는 일상 쌀가격이 이전에 비하여 많이 올랐는가. 부모님과 더불어 생활하고 있는 관계로 가끔씩 혼자서 쌀로서 밥을 짓곤 한다. 젊은 날 부모님들이 해주시는 밥을 먹고 등교하거나 출근할 때 밥은 당연히 쌀로 짓는 것이고 쌀은 가게에 가면 상시라도 살 수 있는 존재라고 여겼다. 이에 대하여 누구나 그러한 경험들이 있을 것이다. 밥을 짓는 쌀이 과연 어디서 나와서 어디에서 구입하고 이러한 과정을 생각하지 않았을 것이다. 쌀을 생산하는 것은 농부가 하는 일이고 농부가 정성껏 지은 쌀을 중개상들이 그들의 이윤을 남기며 우리들이 일상적으로 마트에서 구입하여 먹을 수 있도록 거미줄같은 거래망을 통하여 우리집앞 가게에 가져다 두는 것은 다연하다고 생각하였다. 이것이 사회적 현실이고 우리가 마주하지만 이.. 2024. 7. 8. 수퍼엔저 : 달러당 160엔 돌파 1. 엔약세의 배경 드디어 달러당 160엔을 돌파하다. 과연 강달러의 위세가 대단하다. 일본경제가 호황이고 일본제조업이 미국을 초월하여 전세계를 뒤덮는 Made in Japan을 알리는 시기 엔화는 세계의 주요통화로 등극하였다. 엔강세는 일본경제호황을 먹고사는 존재이다. 이 시기의 일본국민들은 제2차세계대전에서의 패배감을 딛고 당당한 세계시민의 일원임을 자랑스러워했다. 엔강세를 딛고 상대적으로 저렴해진 해외여행을 다니며 Pierre Cardin, Gucci 등 명품쇼핑에 열을 올렸다. 알본기업은 풍부해진 달러로 해외부동산, 특하 미국부동산을 거센 기세로 사들였다. 이에 자국경제의 불안을 감지한 미국이 플라자호텔에서 반강제적으로 일본재무상에게 거의 50%에 가까운 엔절상을 요구하여 미국의 대일본무역적자를 .. 2024. 7. 4. 강달러시대의 대처 1. 국제무역거래에서의 달러위상 국제무역거래에서 필수적인 청산통화는 달러이다. 물론 무역거래당사국들의 합의에 의한 결제수단인 통화를 달러이외 제3의 통화로 사용할 수 있다. 그러한 사례로 러시아와 중국간 무역거래에서 달러가 아닌 중국의 위안화로 한다는 러시아와 중국간 합의에 의한 달러이외의 결제수단이다. 그러나 이는 어느정도 경제력이 강한 국가간의 합의에 의한 달러이외의 결제수단으로 하는 예외적인 현상이다. 대체로 무역거래에서 사용되는 통화는 무역당사국이 아닌 일반적인 국제무역거래애서 사용될 수 있는 보편성을 가진 통화이어야 한다. 무역당사국이 받은 외화를 제3국과의 무역거래에서 사용되는 것을 예상한다면 다수의 국가가 신뢰하는 통화이어야하기 때문이다. 이를 충족하는 통화는 달러이외 대체통화로 유로, 엔,.. 2024. 7. 3. 이전 1 ··· 13 14 15 16 17 다음